갑바 도 기아 | 성지가 좋다 229회 터키 ‘갑바도기아’, 초기 기독교의 영성을 따라서 16728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갑바 도 기아 – 성지가 좋다 229회 터키 ‘갑바도기아’, 초기 기독교의 영성을 따라서“?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hotramvillas.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you.hotramvillas.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C채널방송 : 프로그램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1,387회 및 좋아요 260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갑바 도 기아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성지가 좋다 229회 터키 ‘갑바도기아’, 초기 기독교의 영성을 따라서 – 갑바 도 기아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229회 터키 ‘갑바도기아’, 초기 기독교의 영성을 따라서

갑바 도 기아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역사적 배경 – 갑바도기아 여행

갑바도기아 의 생성은 기원전 10,000년 경 제 3차 융기 현상으로 인해 지반의 상승으로 이루어 졌다고 한다. P지판 의 힘과 L지판의 힘이 부딪히며 상승하여 갑바도기아의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sites.google.com

Date Published: 8/17/2022

View: 7359

[성경지리 설교문] 갑바도기아 Cappadocia – 두란노 서원

안녕하세요. 두란노 서원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오늘은 성경 지명의 설교문 중에서 갑바도기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명연구 : 가바도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drn153.tistory.com

Date Published: 9/27/2022

View: 9369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갑바 도 기아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성지가 좋다 229회 터키 ‘갑바도기아’, 초기 기독교의 영성을 따라서.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성지가 좋다 229회 터키 ‘갑바도기아’, 초기 기독교의 영성을 따라서
성지가 좋다 229회 터키 ‘갑바도기아’, 초기 기독교의 영성을 따라서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갑바 도 기아

  • Author: C채널방송 : 프로그램
  • Views: 조회수 11,387회
  • Likes: 좋아요 260개
  • Date Published: 2020. 4. 15.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prkSPYVYqEA

갑바도기아 기독교의 흔적들

“우리는 바대인과 메대인과 엘람인과 또 메소보다미아, 유대와 갑바도기아, 본도와 아시아,

브루기아와 밤빌리아, 애굽과 및 구레네에 가까운 리비야 여러 지방에 사는 사람들과 로마로부터 온 나그네 곧 유대인과 유대교에 들어온 사람들과 그레데인과 아라비아인들이라 우리가 다 우리의 각 언어로 하나님의 큰 일을 말함을 듣는도다 하고”(사도행전 2:9~11)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 베드로는 본도, 갈라디아, 갑바도기아, 아시아와 비두니아에 흩어진 나그네 곧 하나님 아버지의 미리 아심을 따라 성령이 거룩하게 하심으로 순종함과 예수 그리스도의 피 뿌림을 얻기 위하여 택하심을 받은 자들에게 편지하노니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더욱 많을지어다” (베드로전서 1:1~2)

예수님의 부활 이후 예루살렘에 모여있던 사람들은 오순절 성령 체험을 하게 되는데 여러 지역에서 모인 사람들 중에는 갑바도기아라는 곳에서 온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또 베드로가 기독교인들에게 보내는 편지의 수신인 중에도 갑바도기아에 사는 기독교인들이 포함되어 있었던 것을 보면 갑바도기아라는 지역은 성경에 많이 등장하는 곳은 아니지만 초기 기독교시대부터 기독교 신앙인들이 거주했던 곳으로 여겨집니다.

갑바도기아는 터키의 수도 앙카라에서 동남쪽으로 약 320km덜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친절하고 사랑스러운 땅’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고 합니다. 이 지역은 대규모의 암석지역으로 자연이 만들어내는 놀라운 신비를 경험할 수 있는 곳입니다. 거대한 절벽에는 갈색, 흰색, 붉은색 등의 다양한 지층들이 겹겹이 쌓여진 채로 노출되어 있고, 불쑥불쑥 솟아오른 원뿔형의 돌기둥들에는 군데군데 크고 작은 구멍들이 생겨난 것을 보게 됩니다. 영화 <스타워즈>의 배경이 되었다고 하는 갑바도기아는 만화영화 스머프에 나오는 버섯 모양의 집들이 실재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해 주기도 합니다.

수억 년 전부터 오랜 기간 화산활동에 의해 분출된 용암들이 수많은 층을 이루고, 화산재들로 만들어진 암석들은 바람과 물의 풍화작용으로 기괴한 모습으로 깎이면서 지금처럼 신비한 모습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더욱 놀라운 것은 절벽과 솟아오른 돌기둥에 자연현상에 의해 생겨난 굴들만 있는 것이 아니라 오래 전부터 사람들은 이곳에 인공적인 동굴을 만들어 삶의 터전을 만들어 왔다는 것입니다.

초기 기독교인들 중에는 로마의 박해로 예루살렘을 떠나 주변지역으로 흩어지면서 갑바도기아에 정착했던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이곳은 사람들이 살기에 어려운 지역이었기에 초기 기독교인들에게는 안전한 거주지가 될 수 있었습니다. 이후에는 중세시대 이슬람 세력과의 갈등을 겪으면서는 또다시 기독교 신앙인들은 아랍인들이 접근하기 힘들었던 갑바도기아에 모여 교회와 수도원을 건설하여 신앙을 지켜낸 곳이기도 했습니다.

바람에 의해 만들어진 굴 안에 더 깊이 굴을 파 생활하기도 하고, 땅 밑으로 복잡하고 긴 지하 동굴을 만들어 목숨을 지키며 살아갔던 사람들에게 함께 모일 수 있는 교회 공간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두려운 마음이 들 때, 척박한 땅에서 살아가는 것이 너무나도 힘들 때 서툴지만 온 마음을 담아 벽에 그려낸 그림 하나는 새로운 용기와 위로를 주고 세상에 대한 담대함을 갖게 해 주었던 것입니다.

사람이 도무지 살기 어려운, 그래서 신앙을 지키며 살아가기에는 오히려 안전했던 갑바도기아에는 자연의 신비와 더불어 신앙의 놀라움이 함께 숨어 있습니다.

(보시니 참 좋았더라 2011년 8월 미술이야기)

성경의 땅, 갑바도기아 (καππαδοκιας) 지하 도시-데린구유

πετρος αποστολος ιησου χριστου εκλεκτοις παρεπιδημοις διασπορας ποντου

γαλατιας καππαδοκιας ασιας και βιθυνια)

카이마클 지하도시

카이마클 지하도시는 기독교가 만들어낸 지하 8층의 은둔지다. 터키는 이슬람 국가이기 때문에, 이슬람의 박해를 피하기 위해 지하에 은둔지를 만들었다. 약 3천명 정도가 거주할 수 있는 규모라고 하는데, 많을때에는 8천명 가량이 살았다. 내부에는 부엌과 식량창고, 와인저장고, 교회 등 하나의 도시로서 완벽한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바깥공기는 길이 40m가 되는 통기구에서 들어온다. 천장이 낮고 통로가 좁아 마치 미로 같은 지하도시에서 8천명의 사람들이 살았고 카이마클 지하도시와 남쪽으로 12km떨어진 데린쿠유 지하도시와 지하터널로 연결되어 있다. 데린쿠유는 1만명이 생활했었다는 카파도키아 최대의 지하도시이다

괴뢰메 국립공원(Goreme National Park) 신비의 지하도시(Underground City)

BC 4000년부터 사람들이 카파도키아로 알려진 괴뢰메에서 바위에 굴을 파고 살기 시작했으며, 이 지역에 기독교인들이 오면서부터는 예배당과 교회, 수도원들이 바위에 세워지기 시작했다. 데린쿠유, 마즈, 카이마클리에는 침략자들로부터 숨어서 거주할수 있는 지하 도시들이 세워졌다. 외즈코낙에도 지하도시가 있으며, 역시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이들 지하도시들은 화산 응회암을 깎아서 지하 8~9층으로 만들었으며, 수많은 방들과 좁은 터널, 환풍기 시설을 갖춘 미로의 형태로 완벽한 구조와 건축기술을 보여준다. 후에 기독교인들이 박해를 피해 은둔처로 사용하였다

갑바도기아 지역 우키사르에 있는 동굴교회

골로새처럼 사도들의 주요 전도 지역이 아니면서도 기독교 시초부터 복음이 전파된 곳이 있다. 바로 갑바도기아(Cappadocia)이다. 이곳에서 온 일단의 유대인들이 오순절 날 예루살렘에 왔다가 성령께서 임하는 것을 체험하였다(행2:9). 그리고 성경의 어느 곳에도 나타나지 않던 갑바도기아는 초대 교회가 핍박받던 수난의 시절에 씌여 진 베드로전서에 나온다(벧1:1). 이로 보건데 갑바도기아 지역에는 일찍부터 기독교인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 후 이 지역은 신학적인 학파까지도 형성했으며,4세기에는 바질(Basil)이나 그레고리(Gregprius)같은 유명한 학자도 배출하였다. 이곳은 고원 지대로 소아시아 동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정확한 경계는 알 수 없다. 주후 17년 티베리우스(Tiberius) 황제가 로마의 영토로 만들었다. 그리고 로마제국의 가장 막강한 일선 보루(堡壘) 중의 하나오 삼았다. 트라야누스(Trajanus) 황제의 통치 당시 이 지방의 규모와 중요성은 더 커졌다. 갑바도기아 지역이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무엇보다도 이 곳에서 발견된 동굴 교회들 때문이다. 이 동굴 교회는 대부분 비잔틴 시대에 만들어진 것이다. 겉에서 보면 단지 암벽에 구멍이 뚫려 있는 것처럼 보이나 동굴 속에는 벽만이 성화로 가득한 완전한 형태의 교회가 있다. 지금 잘 보존 되고 있는 벽화는 9세기 이후의 것이며, 그 이전의 것들은 아랍인들과 아시아인들이 침입했을 때 파괴하거나 손상시켜 버렸다. 터키(Tirkey)가 지배 할 때부터 이 지방 수도자들의 수가 줄어들었지만 수도자들은 1922년까지 여기 남아 있었다

괴뢰메 동굴교회

‘괴레메’는 카파도키아의 중심도시로 카파도키아의 관문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가장 먼저 발을 들여놓는 명소이다. 괴레메는 비잔틴 시대의 예배당과 수도원이 있던 곳이다. 마을 외곽 2km에 자리한 괴뢰메 계곡에는 야외박물관이 있다. 이곳에는 예수의 생애를 묘사한 벽화가 있는 사과 교회와 콘스탄티누스 황제와 성 헬레나의 초상화가 있는 뱀 교회, 최후의 만찬이 벽에 그려져 있는 카란르코 교회, 그리고 괴레메에 있는 교회들 중 가장 화려한 실내장식과 뛰어난 보존상태로 사랑받고 있는 바클 교회가 있다. 교회입구에 사과나무가 있었다는 “사과교회”, 벽화에 그려진 사람이 샌들을 신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 “샌들교회”, 그리고 특히 푸른색의 벽화가 아름다운, “토칼르 교회” 등, 수없이 많은 교회가 있다. 괴뢰메 계곡은 천연의 자연 조각품으로 환상적으로 감상하기 좋은 곳이다. 이곳은 데린구유나 카이마클 지하 도시와는 달리 지상에 있는 바위 동굴 속에 프레스코와 성화들이 교회마다 장식되어 있다. 성화들이 많이 파괴된 곳도 있으나 토카트르 교회 같은 곳은 거의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다. 우상숭배를 배척하는 회교인들과 어린이들의 장난으로 초기 성화들이 많이 파괴 되었으나 당시 비잔틴 예술을 이해하는데는 많은 도움을 준다. 어두운 교회의 천정과 벽에는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공생애의 기적들, 최후만찬, 유다의 배반,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등이 그려져 있다. 사과교회, 집시교회, 토칼르교회, 성 바르바르 교회 등 수 많은 교회 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죽음과 부활등을 주제로 성화가 그려져 있으며, 천정 모퉁이에는 성경 기록자들의 성화도 그려져 있다

cafe.daum.net/yeongnamnohoe

카파도키아( Cappadocia )

터키의 수도 앙카라에서 동북쪽으로 320Km 떨어져 있으며 카파도키아는 도시 이름이 아니고 아나톨리아(Anatolia) 고원의 남동부에 일대 지역을 말하는 것으로 이곳은 수백만 년 전에 에르지에르산과 길류산의 화산

활동으로 용암과 화산재가 이 지역을 덥게 되였습니다. 그 후 오랜 세월 동안 비바람에 의해 침식 풍화 작용으로

부드러운 바위는 깎이어서 지구가 아닌 외계에 어느 혹성을 연상 하도록 괴상한 형태의 걸작을 만들어 놓았습니다. 영화 스타워즈에서도 이곳을 배경으로 촬영했다고 합니다. 카파도키아 지방은 우치사르 괴뢰메 데린쿠유 카이마크로 등으로 나누어져 있고 괴뢰메가 대부분 여행객들이 방문하는 중요한 거점입니다. 이 지역은 실크로드의 길목으로서 옛날부터 많은 사람들이 왕래하였고 그리스도교도 이 지역에 전파 되였는데 초기 로마 시대에 그리스도가

박해를 받아 지하 동굴 속에 숨어 살았던 흔적이 남아 있어서 많은 관광객의 발길이 이여지고 있습니다.

카파도키아- 지하도시인 데린구유.

데린구유 내부 모형도

데린쿠유(Derinkuyu)지하도시

이 지역은 버섯모양의 기암괴석도 유명하지만 관광객들을 끌어 드리는 또 하나는 최대 3만 명까지 수용이

가능한 대규모 지하 도시입니다. 기독교인들이 로마군들로부터 박해를 피해 이곳에 도시를 형성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깊은 우물이라는 뜻을 가진 데린쿠유는 지하 120m까지 내려가는 지하도시 인데 피난민이 늘어날수록

더 큰 공간의 넓이가 필요하게 되자 옆으로 혹은 지하로 계속 파 들어가 복잡한 미로를 되어 있습니다. 거대한

도시부터 작은 마을에 이르기 까지 총 40여개에 달하는 거주지가 발굴 되었으나 현재는 6층까지만 개방하고

있었습니다. 이중에서도 가전잘 보전되어 있는 데린 구유 지하 도시입니다. 지하도시 안에는 평상시에 밖에서

사료를 날라다가 저장해 둘 뿐 아니라 추수한 곡식들이 서늘한 지하 도시에 보관되고, 비상시 음료수를 위해

장기간 저장이 가능한 포도주를 놓아둔 흔적들도 있습니다. 땅속 깊이 우물을 파서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하고

또한 이것을 지하 공기를 맑게 해 주는 통풍 장치도 있습니다. 동굴 중간 중간에는 외적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해

둥근 맷돌 모양의 큰 석물로 통로를 차단하게 되여 있습니다. 통로는 겨우 한 사람이 허리를 굽혀야만 다닐 수

있는 정도의 좁게 되어 있습니다. 이 지하 도시는 주거지로 사용하던 방들, 부엌, 교회, 곡물 저장소, 동물 사육장, 포도주 저장실, 성찬 및 세례식을 갖는 장소, 신학교까지 지하에 완전히 갖추었습니다.

지하도시 들어가는 입구

외부에서 로마군이 쳐들어 올 때는 이 맷돌로 통로를 막도록 되어 있습니다.

로마군를 피해 숨어 살고 있는데 소리를 크게 지르거나 소음을 내서 밖에 들리면 안 되기 때문에 이 규칙을

어긴 사람에게 벌을 주는 곳입니다.

동굴 내 교회(이런 교회가 여러 군데 있다고 합니다.)

사람 죽으면 시체를 임시로 보관 여기에 두었다가 밤에 몰래 밖에 묻는 다고 합니다

지하 부엌(연기가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특별히 연기가 지하수 쪽으로 빠지게 되어있습니다.)

우치사르(Uchisar)성

우치사르는 1300m에 이르는 응회암으로 되어있는 바위산으로 방어 목적으로 바위가 부드러워 쉽게 터널을 만들 수가

있었습니다. 부식 작용으로 인해 오늘과 같은 벌집모양의 바위산이 만들어 졌다고 합니다. 14세기말에서 17세기까지는

우치사르가 이지역의 중심이었는데 18세기에 오토만 국무총리 Damat Ibrahim Pasa가 Nevpehir를 더 큰 도시로 만드는

바람에 방어 목적의 성으로서 가치는 적어지고 요사이는 관광의 중심지가 되어 있습니다. 고지대로 주변을 다 내려다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벌집처럼 생긴 성채 자체도 볼만한 관광자원이기 때문입니다. 바위를 파서 거기공간에 집으로 쓰므로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춥지 않기 때문에 이런 집에서 많이 살았었는데 바위가 약하고 오래 되어서 무너질 우려가

있어서 이제는바위 집에서 살지 않게 되었고 정부에서도 머물지 못하게 하고 있습니다. 지금은바위에 수없이 뚫려 있는

구멍 그자체가 기기묘묘한 모습이여서 관광자원의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치사르가 유명한 관광단지로 탈바꿈

되었습니다. 많은 호텔 여관 유명한 식당들이 들어서게 되었고 바위산 성채내의 공간을 개조해서 호텔로 만들어 손님을

받고 있습니다.

비들기 계곡

벌집 처럼 구멍이 뚤려 있는 우치사르 요새

우치사르를 뒤쪽에서 바라본 모습입니다.

전망대는 우치사르에서 가깝기 때문에 전망대에서 우치사르 전경을 볼 수가 있었습니다.

전망대에서 내려다 본 괴뢰메 골짜기

파샤바 계곡(Pasabag, Valley of the Fairy Chimneys)

카파도키아 지역에 있는 파샤바 계곡은 괴레메(Goreme)로부터 젤베(Zelve)로 가는 중간에 있는 계곡으로

일명 요정의 굴뚝의 계곡아라고 합니다. 버섯바위로 유명한 곳으로 로마의 콘스탄틴 대제가 기독교를 공인하고

신앙의 자유를 허용 하므로 기독교인들이 일시적 나태하고 타락해지자 기독교의 고행의 창시자인 성 시몬

(St. Symeon the stylite 390-459)이 기독교의 초심으로 돌아 가기위하여 자기 스스로의 고행 및 은둔생활을

하려고 노력 했다고 합니다. 요정의 굴뚝이라 불리고 삼위일체를 의미하는 3개의 갓이 있는 바위의 2m 높이

위를 파서 좁은 공간에서 고행과 은둔 생활 을 하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 골짜기를 수도사 골짜기라고도

합니다. 특별이 이곳은 만화영화 ‘개구쟁이 스머프’의 마을 같은 형태의 버섯모양의 바위들이 많은 곳입니다.

도자기 공장

blog.naver.com/boc5421/80094950505

<괴뢰메 동굴교회: 사진, 성화사랑>

열흘 여행기 (10): 갑바도기아의 지하 동굴 도시

호텔에서 1박한 후, 1월 22일(금) 아침 드디어 갑바도기아의 지하 동굴 도시인 카이마클리(Kaymakli)로 향했습니다.

버스를 타고 가는 동안 사진이나 비디오로만 봤던 지하 도시를 실제로 가보면 어떨까 하며 마음이 설레었었는데, 동굴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그 옛날 핍박을 피해 이런 협소한 공간에서 참고 버텼을 그리스도인들의 고통이 그대로 전달되어오는 듯 했습니다.

로마의 카타콤과 이곳 갑바도기아의 지하 도시를 혼동하는 그리스도인들이 종종 있는데, 로마의 카타콤이 아닌 이곳이 바로 그리스도인들이 이교도들의 박해를 피해 꼭꼭 숨어 살았던 장소입니다.

그리스도인들이 이 지하 도시로 피신하여 초기에는 로마제국, 나중에는 이슬람 제국의 핍박을 견뎌냈습니다.

로마의 카타콤은 핍박을 피해 가서 살던 곳이 아니고 그리스도인들의 지하 공동묘지로서, 먼저 세상을 떠난 신실한 그리스도인들이 묻힌 곳에 가서 모임을 하면 더 신령한 은혜가 임할 것이라는 미신을 신봉하던 사람들의 예배 장소로 사용되었다는 것이 정설입니다.

그래서 로마의 카타콤은 신앙의 본보기로 미화되어서는 안됩니다.

하지만 2세기부터 3세기까지 로마 군대가 들이닥칠 때마다 갑바도기아의 지하 동굴 도시로 피신해서 살았던 그리스도인들은 신앙을 지키기 위해 지하에서 고통을 감수한 신앙의 선배들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답답한 그 안에서 힘들어도 함께 예수 그리스도를 드러내고 예배하고 교제하며 버텨낸 그들이 참 대단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갑바도기아 지하 동굴 도시는 1960년 대에 처음 발견되어 지금까지 30여 군데가 발견되었고 시간이 흐를수록 더 많이 발견될 것으로 추정되는 곳인데, 가장 큰 동굴 도시엔 최대 2만 명까지 살았다고 하니 한꺼번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거주했는지 짐작이 가고도 남습니다.

이렇게 지하에서 바위를 파서 그 많은 거주 공간을 마련할 수 있었던 것은 화산재가 퇴적되어 생긴 응회암이 무르기 때문에 비교적 수월하게 팔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지하 도시 안에는 이교 군사들이 들이닥칠 때 마을 사람들 모두가 피신하여 얼마동안 버틸 수 있도록 수도 없이 많은 침실과 거실, 부엌, 식당, 창고, 저수조, 와인 창고, 화장실 등 생활에 필요한 모든 것이 준비되어 있었고 또 교회 모임 장소와 성경학교도 있었으니, 아무리 바위가 무르다고 해도 참으로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방대한 작업이었을 것입니다.

지하 12층으로 추정되는 이 카이마클리 지하 도시(지금은 지하 7층까지만 발굴되어 있고 지하 4층까지만 일반에 공개하고 있음)는 파 내려가면서 계속 공간을 마련할 때 아래층을 팔 때는 윗층이 무너지지 않도록 특별히 신경을 써서 설계되어 있고, 더 놀라운 것은 발굴된 곳 중 가장 큰 규모의 데린쿠유(Derinkuyu)와 카이마클리(Kaymakli)가 9킬로미터나 되는 지하 터널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때 그당시 사람들의 기술이 보통이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또 특기할 만한 것은 지하 깊숙이 내려가도 숨쉬는 것이 거북하지 않고 습기도 차지 않도록 환기 장치가 잘 되어있고, 계절에 관계없이 여름이나 겨울이나 항상 섭씨 13-15도를 유지할 수 있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긴 환기통

한 사람 간신히 드나들 수 있게 만들어진 통로

지하 도시에 들어서서 돌아다니는 동안 주로 고개를 숙이거나 허리를 굽히고 다녀야 했는데, 체구가 크고 뚱뚱한 사람은 다닐 수가 없을 정도로 입구와 통로를 좁고 낮게 만들어놓았습니다.

외부의 적에게 발각되더라도 한꺼번에 많은 군사가 안으로 쉽게 쳐들어오지 못하게 한 것입니다.

그리고 적이 안으로 들어왔다 해도 그 좁디좁은 통로가 또 미로처럼 퍼져있어 길을 잃어버릴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밖으로 나가지도 못하고 꼼짝없이 붙잡혔다고 합니다.

그래서 우리 일행 중 한명은 허리가 좋지 않아 지하 도시 돌아보는 것을 포기 하고 우리가 구경하는 동안 두 시간을 버스에 앉아 기다려야만 했습니다.

연자맷돌처럼 생긴 둥근 돌로된 문

또 입구와 통로 곳곳에 외부의 침입을 막기 위해 연자맷돌처럼 생긴 큰 돌로된 문을 배치해놓아 여차하면 옆으로 굴려서 입구와 통로를 봉쇄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밖에서는 그 돌문을 옆으로 굴려 열수 없도록 한 교묘한 장치입니다.

그리고 미처 돌문을 굴려 닫지 못해서 적이 안으로 들어왔다 해도 문 바로 안쪽 통로 위에는 구멍이 있어 그 구멍으로 뜨거운 물이나 뜨거운 기름을 쏟아부어서 적을 퇴치했다고 하니 참으로 머리를 많이 써서 고안했던 것 같습니다.

지하 동굴 도시 안에서 열을 가하지 않고 구리를 가공할 수 있는 도구도 있었음

이 지하 동굴 도시를 돌아보는 내내 이렇게 하면서까지 신앙을 지키려 했던 그들의 처절함을 피부로 느끼는 듯 했습니다.

그리고 어떤 미국 그리스도인이 이곳에 왔다가면서 “나는 로마 군사에게 죽임을 당하면 당했지 이런 곳에선 단 하루도 살 수 없을 것 같다”고 했는데 그 말이 이해가 갔고, 미국에서 마음껏 자유를 누리며 신앙생활을 하면서 조금만 불편해도 참기 힘든 나 자신이 새삼 부끄러워지기도 했습니다.

갑바도기아 지하 동굴 도시로의 여행은 나 자신에게 큰 도전을 준 참으로 가치있는 여행이었습니다.

[성경지리 설교문] 갑바도기아 Cappadocia

반응형

안녕하세요. 두란노 서원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오늘은 성경 지명의 설교문 중에서 갑바도기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명연구 : 가바도기아 Cappadocia

1. 위치와 경계

1) 위치 : 현재의 터어키에 소속되어 있으며 앙카라에서 자동차로 1시간 30분 거리에 있다.

2) 경계 : 시대에 따라 큰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남으로는 본도와 할리스 강 상류의 산을 경계로 하고, 동으로는 갈라디아와 루가오니, 북으로는 길리기아와 타우루스 강을, 서로는 아르메니아 유프라데스 강을 경계로 한다.

2. 지형 및 관광

1) 지형 : 높은 산들과 언덕들, 그리고 기암 절벽들로 이루어져 있는 광야에 위치하고 있다.

2) 관광 : 개별적인 입장은 불가능하고 반드시 숙련된 가이드와 함께 입장해야 한다.

3. 신앙 수호를 위한 시설들

1) 특수문 : 외부에서는 열 수 없고 내부에서만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문들로 이루어져 있다.

2) 공격용 돌들을 저장해 놓은 굴들이 발견되고 있다.

3) 동굴과 동굴 사이의 비밀 통로들이 건설되어 있다. 이 통로들은 이동 후에는 허물어 버릴 수 있는 특수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4) 동굴은 대부분 도망 후에 붕괴시킬 수 있는 시스템들로 이루어져 있다.

4. 유적

1) 지형적 유적들 : 동굴교회, 지하교회, 지하처소들이 많이 발굴되고 있다. 산악지대 안쪽에서는 지하교회 뿐만 아니라 지하 도시들이 다수 발견되고 있다

2) 지하도시 : 지하 20층 규모의 지하 도시들이 발견되고 있으며, 개방은 지하 8층까지만 되고 있다.

3) 지하 구조

굉장히 복잡한 미로식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외부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서이다. 밖에서는 작은 구멍에 불과하던 것이 들어가면 갈수록 거대한 동굴로 변화한다.

4) 벽화들과 천정화 : 거대한 동굴들에 많은 벽화들과 천정화들이 화려하고 다양한 색채로 그려져 있다.

5. 가바도기아의 유대인

1) 회당 : 주전 2세기경에 이곳에 유대인들의 회당이 이미 설립되었다.

2) 신약의 언급

① 사도행전 2장은 오순절 때 많은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으로 순례를 왔다고 기록하면서 그중에 가바도기아인들이 있었음을 분명히 기록하고 있다.

② 베드로 전서에서는 가바도기아에 있는 성도들을 언급하고 있다.

6. 교회와의 관련

1) 위의 3-2)의 내용으로 보아, 가바도기아는 기독교가 형성되던 초기부터 기독교 신앙을 받아 들였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2) 신학자들 : 가이사랴의 감독이었던 대 바실, 닛사의 그레고리, 대 바실의 동생이었던 나지안 주스의 그레고리, 이 세 사람은 모두 가바도기아 출신이었다.

3) 이 신학자들에 의해서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때 삼위일체에 대한 확실한 정의가 내려졌다.

7. 지배자들

1) 주전 약 2000년 전부터 앗수르 상인들에 의해서 식민지가 형성되었다.

2) 곧 이어서 페르시아의 속국이 되었다.

3) 주전 약 200년 전부터는 로마의 식민지가 되었다.

4) 가바도기아의 마지막 왕이었던 아켈라우스가 죽은 이후인 주후 17년부터는 로마의 직속 영토로서 지배를 받았다.

8. 특징들

1) 주된 역할

① 교역로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문물의 흐름이 늘 있었다.

② 상인들이 쉬어가는 중간 지점이었다.

2) 큰 도시 : 가바도기아 내에서 가장 큰 도시는 티아나와 가이사랴로 알려진 마자카였다.

3) 특산물 : 당시의 특산물은 지형적 이유 때문에 황토흙, 석고, 은, 납 등과 같은 광물들이었다.

4) 수출품

① 산에서 기를 수 있던 다양한 가축들이 당시의 주된 특산물이었고 수출품이었다.

② 특히 가바도기아의 말(馬)은 굉장히 유명했다.

9. 가바도기아의 지하 도시 데린쿠유(Derinkuyu)

이 지하 도시는 19세기에 교회 아래에서 발견되었다. 저장 창고, 부엌, 집회소, 묘지, 그리고 교회가 거기에 있었다. 길이는 수 Km가Km 되며 22만 명 이상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이나 전체 규모는 아직 밝혀지고 있지 않다. 초대 교회 당시에 박해받던 교인들이 이 지하 도시에 모여서 예배드렸다.

원어설교 : 가바도기아 Cappadocia

가바도기아 Καππαδοκια : 캅파도키아 Cappadocia

행2:9 우리는 바대인과 메대인과…유대와 가바도기아, 본도와 아시아,

‘호의적인, 자비로운’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가바도기아는 동부 소아시아에 위치한 신약시대 로마의 식민 영토였습니다. 큰 성이 얼마 없는 이 곳은 험준한 사막 지방이었지만 교통의 중심지로 전략적인 요충지였습니다.

1. 복음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었습니다

베드로는 가바도기아를 포함한 소아시아의 지역에서 베드로 전서를 쓰면서 ‘흩어진 나그네'(1:1)라는 표현을 쓰고 있습니다. 이 원어의 뜻은 ‘분산'(διασπορα디아스포라)으로 팔레스타인 이외에 거주하는 유대 민족의 구성원을 가리키는 기술적인 용어였는데, 베드로 전서에서는 이방인, 기독교인들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당시의 기독교인들은 핍박을 피하기 위해 팔레스타인 지방을 떠나 여러 곳으로 흩어져 살았고, 유대 기독교인들도 이곳에 거주하여 살게 되었습니다. 4세기경에 이곳에서 주요한 교회의 지도자들이 나왔던 것으로 보아 당시 기독교가 얼마나 큰 세력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짐작하게 해 줍니다. 이는 원어의 뜻에서 보여지듯이 흩어진 기독교인들을 호의적으로 받아들였고, 그로 인하여 기독교가 쉽게 정착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또한 그들이 하나님의 은혜를 받을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었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예수님의 씨 뿌리는 비유에서 보여지는 좋은 땅과 같이 가바도기아는 준비된 사람의 마음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2. 열린 마음이 준비된 마음입니다

예수님은 우리들 마음의 문을 항상 두드리고 계십니다(계3:20). 만약에 우리가 마음의 문을 열고 주님을 받아들여 계속적인 교제를 나눈다면, 그리스도 안에서 예비된 축복과 부요함을 누릴 수가 있습니다. 열린 마음을 지녔다는 것은 개간된 좋은 땅을 지녔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며, 가바도기아처럼 호의적인 마음을 뜻합니다. 바로 이것이 준비된 마음입니다. 준비된 마음은 길가와 같이 단단하지도 않고, 돌밭같이 거칠지도 않으며, 가시나무가 심겨져 있지도 않은 마음입니다. 좋은 땅과 같은 마음을 지닌 자는 열려 있는 마음의 정도에 따라 때로는 백배, 육십배, 삼십 배의 결실을 맺게 됩니다. 비록 하나님의 은혜는 값없이 주어진 것이지만 더없이 값진 것입니다. 그러므로 받은 은혜를 결코 헛되이 해서는 안되겠습니다(고후6:1).

3. 준비된 마음으로 축복을 누려야 하겠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십자가에 달려 있었을 때에 양쪽에 함께 있던 죄수들과 돌아가시기 전에 이야기를 나누셨습니다. 그런데 한쪽 편에 있던 죄수는 “네가 그리스도가 아니냐, 너와 우리를 구원하라”(눅23:39)고 예수님을 조롱한 반면에 다른 편에 있던 죄수는 하나님의 나라가 임할 때에 자기를 생각해 달라고 부탁하였습니다. 동일한 죄수의 신분으로 십자가에 달렸지만 두 사람의 자세는 너무나 달랐습니다. 롯의 경우에도 그러했습니다. 롯이 불과 유황에서 도피할 수 있었지만 뒤를 돌아본 롯의 아내는 소금기둥이 되고 말았습니다(창19장). 이처럼 하나님은 항상 우리에게 은혜를 베풀고 계시지만 이를 받아들이는 우리들의 자세에 따라 그 은혜가 거절될 수도 있고, 은혜의 폭이 좁아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강퍅한 마음을 버리고 복음을 기쁘게 받아들임으로써 하나님의 은혜를 충만하게 누려야 하겠습니다.

설교1 : 가바도기아 Cappadocia

나그네 성도들의 세계

벧전1:1-3 …본도, 갈라디아, 갑바도기아, 아시아와 비두니아에 흩어진 나그네…

나그네란 어느 한 지역에 정착하지 못하고 이곳저곳을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사람들을 뜻합니다. 베드로 사도는 당시 소아시아 여러 곳에 흩어져 사는 성도들을 나그네들이라고 표현했습니다. 그리고 성경에서는 “나그네와 행인 같은 너희”라고 강조합니다(2:11). 이는 저 영원한 천성을 삶의 목적지로 삼은 성도들의 현실적 삶을 영적으로 교훈한 것입니다. 베드로 사도는 이와 같은 나그네 성도들이 사는 세계로 소아시아 여러 지방들을 거론했는데, 그 지방들의 명칭 속에서 우리는 귀중한 영적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1. 바다와 같은 곳입니다

1) 험하고 불안한 곳임

사도는 먼저 ‘본도’를 지칭합니다. 본도는 ‘폰투스'(Pontus)로서 현재 터키의 한 지방입니다. 흑해의 남쪽 도시로서 그 이름의 뜻은 바다이며 바울 사도의 동역자 아굴라와 같은 성도들이 거한 곳입니다(행18:2). 그러므로 영적으로 바다와 같은 세계에 우리 성도들이 나그네로 거한다는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바다는 성경에서 위험하고 불안한 죄악 세상을 상징합니다. 근심과 걱정의 파도가 늘 몰려오는 곳입니다(눅21:25). 한시도 진정한 평안을 누릴 수 없는 불안의 물결이 넘치는 곳이 이 세상인 것입니다. 그래서 성경은 성도들이 거할 천국에는 “바다도 다시 있지 않더라”(계21:1)고 위로합니다. 나그네와 같은 성도들은 바다의 세계 본도에서 안식을 찾으려고 해서는 안됩니다. 오직 저 안식의 항구인 천성을 향해 행진해야 하겠습니다.

2) 복음을 전파해야 하는 곳임

성경은 “이는 물이 바다를 덮음같이 여호와를 아는 지식이 세상에 충만할 것임이니라”(사11:9) 이 말씀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바다는 온 세계에 복음이 전파됨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베드로가 표현한 ‘흩어진 나그네’는 소극적인 의미에서의 흩어진 나그네가 아닙니다. 주님의 복음을 온 세계로 전할 사명으로 그곳에 흩어진 복음의 사신, 전파자를 뜻하는 것입니다. 당시 성도들은 유대인들의 핍박으로, 또는 로마 제국의 핍박으로 인해 고향을 등지고 바다를 건너온 세계로 흩어졌습니다(행8:4행18:2). 자연히 온 세계에 복음이 전파될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흩어진 성도들은 종교, 사상, 국경, 인종의 파도를 헤치고 복음을 먼 곳까지 전했던 것입니다. 우리가 거하는 이 세상은 바다처럼 험하고 불안합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고난의 파도를 이용하여 주님의 복음을 전파해야 하는 용기 있는 성도들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2. 거짓되고 어리석은 곳입니다

1) 거짓 진리가 도전하는 곳임

그다음 사도는 ‘갈라디아’를 언급합니다. 갈라디아는 소아시아 중앙 지방입니다. 바울 사도가 전도하여 교회가 일찍 설립된 곳입니다(행14:1행16:6행18:23). 그런데 그곳에 거짓 복음이 전파되어 많은 사람들이 주님의 복음을 버리고 “다른 복음을 좇는”(갈1:6) 일이 벌어졌습니다. 주님의 대속 은혜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받는다는 기독교 진리를 외면하고 모세의 율법도 지켜야 구원을 얻는다는 ‘율법주의 구원론’을 따른 것입니다. 인간이 스스로 무엇을 행해야만 구원 얻을 수 있다는 교리는 인간들이 만든 종교의 보편적인 구원 사상입니다. 이 사상이 오늘도 세계의 모든 종교 사상의 근간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 세상의 학문, 종교 속에는 이와 같은 인본주의 사상과 교리가 깔려 있습니다. 그러므로 성도들은 갈라디아와 같은 세상에서 난무하는 거짓 진리의 유혹과 도전을 항상 경계해야 합니다. 나그네처럼 늘 주변을 경계하고 자신의 신앙을 지켜야 합니다.

2) 하나님 은혜를 망각하는 곳임

갈라디아 지방의 사람들은 대체로 억세고 조급하며 변절을 잘한다고 알려져 왔습니다. 그리이스인들은 그 지방 사람들을 ‘꼬올사람’들로 부릅니다. 주전 270년경 ‘꼬올족’이 침입하여 헬라인과 섞인 사람들이 갈라디아 사람들이요, 갈라디아라는 말도 원래 ‘꼬올 헬라디아’라는 말입니다. 이 지방 교회는 바울 사도가 전도 여행 때마다 머물며 전도하고 가르쳤지만 많은 사람들이 율법주의 거짓 복음을 택하고 주님의 은혜를 등졌습니다. 그래서 바울 사도는 “어리석도다 갈라디아 사람들아”(갈3:1)라고 질책했습니다. 갈라디아라는 뜻은 ‘우유 빛같이 희다’라는 뜻입니다. 쉽게 때 묻을 수 있는 것이 흰색입니다. 세상의 거짓 진리에 쉽게 물드는 것이 세상 사람들의 의식입니다. 성도들은 이와 같이 하나님 은혜를 쉽게 망각하는 세상 속에 있음을 유념해야 합니다. 우리의 삶과 구원도 오직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로 유지되고 성취된다는 진리를 늘 기억해야 합니다. “인간이 스스로 해야 한다”는 갈라디아 사상을 주의하며 오직 주님의 대속 은총을 신앙의 이정표로 삼고 전진하는 성도들이 되어야 합니다.

3. 장차 멸망당할 곳입니다

1) 반드시 멸절될 것임

베드로 사도는 또 ‘가바도기아’를 거론합니다. 그곳은 소아시아 동부의 광대한 평원 지방입니다. 좋은 가축이 많이 생산되는 유명한 목축지요 후에 기독교 학자들이 많이 배출된 지방입니다. 그러나 그 이름의 뜻은 ‘멸망당하다’라는 의미입니다. 아무리 풍요로운 곳일지라도 이 세상은 언젠가는 없어지게 될 것입니다. 하나님의 종말 심판으로 인해 반드시 멸절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성도들은 어느 곳에 있든지 그곳을 타향으로 간주해야 합니다.

2) 새롭게 갱신될 곳임

마지막으로 열거된 곳이 ‘비두니아’입니다. 그 뜻은 ‘태중에 있다’라는 의미입니다. 즉 아직 태어나지 않았지만 모친의 몸속에 잉태된 생명이라는 것입니다. 새롭게 태어날 희망이 있는 곳이 비두니아요, 성도들은 그와 같은 곳에서 나그네로 지내고 있는 것입니다. 비록 불의와 죄악이 관영하고 거짓 진리가 난무하는 곳이 세상일지라도 하나님의 신천 신지 섭리로 인해 새롭게 변화될 곳이 세상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타락한 옛 세계는 사라지고 온전한 세계로 다시 태어날 곳임을 믿고 희망으로 사시는 성도들이 되어야 하겠습니다(계21:5)

험하고 거짓되어 멸망당할 곳이 이 세상입니다. 그러기에 성도들은 안주하지 않고 나그네로 자처하고 살아야 합니다. 그리고 한걸음 더 나아가 주님의 복음을 전파하고 장차 다가올 온전한 세계를 바라보며 살아야 하겠습니다.

설교자료

◈ 바다와 같은 세상

바다를 뜻하는 히브리어 ‘얌’은 ‘노호’라는 의미를 가진다. 그런. 까닭에 이 히브리어는 바다든 강이든 물이 소요하는 곳에는 어디나 적용되어 나타난다. 바다는 성경에서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곳이며(욘1:4마18:6), 장차 세상 권세를 상징하는 거대한 짐승들이 솟아 나오는 곳으로 묵시 문학자들은 표현한다(단7:3계13:1). 그렇다고 해서 하나님의 권능을 벗어난 예외적인 곳으로 볼 수는 없다(욥26:12행14:15). 계시록은 새 하늘과 새 땅의 영광을 예견하는 중에 바다가 없어졌다는 표현을 사용하여 장차 성도가 바다와 같은 세상에서 승리하여 안전한 곳에 거하게 될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계21:1).

◈ 나그네

나그네와 관련한 히브리어의 용법은 네 가지로 분류된다.

① 게르 : 어떤 나라에서 다소 제한된 시민권을 누리면서 반영구적으로 거주하는 시민권을 갖지 못한 외국인 거주자를 가리킨다. 법적으로 게르는 많은 특권을 누렸다(레19:33신10:19레23:22).

② 토솨브 : 이 용어는 거의가 게르와 동의어로 나타난다.

③ 노크리 : 이스라엘 밖에서 태어나 거기서 거주하는 자를 가리킨다. 이러한 이방인은 이스라엘에서 아무런 법적 권리를 누리지 못했다(신15:3신23:20).

④ 차르 : 이스라엘과 대조되는 이방 민족 또는 적대적 민족을 지칭한다(사1:7겔7:21). 모든 기독교인들은 이 세상의 나그네들이다(빌3:22;벧전2:11). 유대인과 이방인들 가르는 벽은 무의미하게 되어 버렸다(엡2:11-19).

◈ 모세의 율법

모세의 율법은 엄밀한 의미에서의 법적인 문제는 전혀 중요시되지 않는다. 토라의 근본 의미는 가르침이며 하나님의 눈을 통해 보여준 역사도 사실상 가르침의 역사이다. 모세 율법의 분석은

① 세상과 인간 종족의 기원(창1-11장)

② 족장 시대(12-50장)

③ 모세와 출애굽(출1-18장)

④ 시내 산의 계시(19-49장)

⑤ 시내 광야에서의 레위기 입법(레1-27장).

⑥ 시내 광야에서의 마지막 사건들과 율법들(민1-10장)

⑦ 모압 광야에로의 이동(11-21장)

⑧ 모압 광야에서의 사건들(22-36장)

⑨ 모세의 마지막 설교(신1-34장)로 분류된다. 물론 이 중에서 십계명은 율법 전체의 핵심이며 근본이다.

◈ 목축

이스라엘에 있어서 부요함은 가축의 소유 기준에서 판단된다. 이스라엘의 지리적인 특성상 목축은 생업의 중요한 수단이었다. 이러한 환경에 따라서 백성의 지도자들이 ‘목자들’이라 불린 것은 일면 당연한 것이라 할 수 있다(삼하5:2,7렘23:2-4).

◈ 새 하늘과 새 땅

성서의 종말론적 용어 가운데 우주의 최종적인 완성 상태를 묘사하는 것이 이 용어이다. 이 용어가 지시하는 중요한 요지는 다음과 같다.

① 우주의 근원을 하나님임(사65:17)

② 역사의 마지막에 하나님은 새로운 우주를 창조할 것임(벧후3:6,7)

③ 새 하늘과 새 땅은 새로운 에덴동산이 주된 요소로 되어 있음(계22:2)

반응형

< 사진에세이 < 칼럼 < 기사본문

우리가 우리 각 사람이 난 곳 방언으로 듣게 되는 것이 어찌 됨이냐? 우리는 바대인과 메대인과 엘람인과 또 메소보다미아, 유대와 갑바도기아, 본도와 아시아,(행2:9)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 베드로는 본도, 갈라디아, 갑바도기아, 아시아와 비두니아에 흩어진 나그네, 곧 하나님 아버지의 미리 아심을 따라 성령이 거룩하게 하심으로 순종함과 예수 그리스도의 피 뿌림을 얻기 위하여 택하심을 받은 자들에게 편지하노니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더욱 많을지어다.(벧전1:1)

갑바도기아 하면 우선은 열기구가 먼저 떠오른다. 호기심 많은 한국인들아 가장 애호하는 상품이고 그래서 많은 소문이 났기 때문이다. 한국인, 일본인 중국인, 유럽 등 많은 사람들이 열기구를 타는데, 비용이 1인당 26만원 정도이다. 한 기구에 40여명이 타고 한 지역에서 거의 200개의 열기구 올라간다고 하니 대단한 장관이 아닐 수 없다.

<친절하고 사랑스러운 땅 갑바도기아>

오늘은 열기구로 유명한 갑바도기아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터키에 가면 꼭 열기구를 타보라는 이야기를 합니다. 지상에서 보는 것과는 달리 열기구를 타고 올라가면 2천 년 전 우리의 믿음의 선조들이 어떻게 신앙생활을 했는지를 한 눈에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여행에 함께 동행한 장남이 동영상으로 찍은 것을 사진으로 옮겨왔다. 새벽 4시에 일어나 현장으로 가서 여러가지 교육을 받고 탑승하면 1시간 정도에 걸쳐 갑바도기아의 전경을 내려다 보게 된다.

사도 시대에, 갑바도기아(카파도키아)는 소아시아 동부에 있는 큰 내륙 지방이었는데, 기후는 대체로 추웠고 나무가 드문드문 나 있는 삼림 지대였다고 합니다. 900미터의 고지들이 있는 고원이 그 지역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그 지역의 역사 전체를 통하여 경계의 변동이 있었지만, 기본적으로 북쪽 경계는 본도(폰토스)였고, 서쪽 경계는 갈라디아와 루가오니아(리카오니아)였으며, 남쪽 경계는 길리기아(실리시아)와 토로스 산맥이었으며, 동쪽 경계는 아르메니아와 유브라데(유프라테스) 강 상류였습니다. 주민들은 조방적(粗放的)인 목양업에 종사하였으며, 소와 좋은 말도 많았고. 따라서 밀이 주요 곡물이었습니다.

역시 장남의 동영상에서 캡쳐한 것인데, 바위에 난 구멍들은 모두 그리스도인들이 박해를 피해 숨어 살기 위해 파놓은 동굴집이다. 그 가운데는 교회당도 있다.

갑바도기아는 고레스(키루스) 치하에 있던 바사(페르시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고, 원래 지역은 본도와 갑바도기아라는 두 개의 지방총독 관할구역으로 편성되었습니다.

시리아의 셀레우코스 왕조 기간에는, 분봉왕들이 통치하는 것이 허용되었습니다. 기원 17년에 로마 황제 디베료(티베리우스)가 이것을 폐하였고, 갑바도기아는 행정 장관의 통치를 받는 로마의 속주가 되었습니다.

기원 70년에, 베스파시안은 이 속주를 아르메니아와 합병하여, 동부의 주요 변방 속주로 만들었습니다. 갑바도기아는 그 지역을 가로지르는 도로들로 인해 전략상 중요하였는데, 그러한 도로 중 하나는 지중해 연안의 다소(타르수스)에서 시작하여, 길리기아의 관문으로 알려진 토로스 산맥의 협곡을 통과하고, 갑바도기아를 가로질러서, 본도 속주와 흑해 연안의 항구들로 이어졌습니다.

갑바도기아의 원주민은 분명히 야벳 계통의 아리아인이었지만, 기원전 2세기에는 이미 유대인이 눈에 띄게 많이 정착하였습니다.

갑바도기아는 친절하고 사랑스러운 땅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사도행전 2장 9절에 예루살렘에 올라온 사람 중에는 갑바도기아에 사는 유대인도 있었음이 나타납니다. 이들은 오순절에 복음을 받고 갑바도기아에 내려와 복음을 전하였고, 그리고 교회를 중심으로 신앙생활을 했을 것이라는 것은 베드로의 서신에서 증명됩니다. (벧전 1:1) 예루살렘에 거주하고 있던 베드로의 귀에까지 갑바도기아교회의 소식이 전해졌던 모양입니다.

무른 바위가 사람을 살렸다. 사랑이 풍성한 만세반석이신 예수님은 하나님이 택한 모든 백성을 그 품에 안아 살리신 것이다.

그러나 저들에게도 박해가 찾아왔고 고난의 행군이 시작됩니다. 저들은 아무도 살지 않는 바위산으로 들어와 바위에 구멍을 파고 숨어 살면서 신앙을 지킵니다. 이 근방에는 약 365개의 동굴이 있었다고 하니 적어도 1,000여명 이상이 숨어 신앙을 지켰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법 큰 동굴은 교회당으로 사용했는데, 차르클러교회, 카란륵교회, 일란르교회, 바르바라교회, 엘말르교회, 바실리우스교회가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파샤바 계곡 등 전체적으로 보면 동굴은 약 1천여 개 이상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교회는 약 30여개 이상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이들은 313년 밀라노 칙령으로 기독교가 공인되기까지 근 300여년을 박해를 피해 동굴에서 살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제 이곳은 야외박물관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는데, 괴레메 야외박물관입니다. 그러기 얼마 전까지도 이곳 동굴에 주민들이 살았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이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깊은 우물이라는 데란구유 지하도시는 땅 밑으로 약 55m나 되는, 간격 4-5m의 한 층을 계산으로 12층 정도의 지하도시가 있는데, 이곳에는 예배당이 있어 구전과 예배로 그리고 벽화를 그려 신앙을 지키면서 후세에 계속 복음을 이어갔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지하도시에는 무덤도 함께 존재하고 있다고 합니다. 지금 공개된 것은 10% 정도밖에 안 된다고 하니 그렇게 추산하면 인구 약 3만 명이 숨어 살면서 신앙을 지켰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우리는 갑바도기아에서 데란구유지하도시를 거쳐 라오디게아로 이동했다.

신앙을 지키기 위해 엄청난 고난의 삶을 살면서도 복음을 지키고 전수하였는지를 돌아보면서 부유함과 평화의 틀 속에서 안주하고 있는 오늘의 우리 자신이 부끄러울 뿐입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갑바 도 기아

다음은 Bing에서 갑바 도 기아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성지가 좋다 229회 터키 ‘갑바도기아’, 초기 기독교의 영성을 따라서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성지가 #좋다 #229회 #터키 #‘갑바도기아’, #초기 #기독교의 #영성을 #따라서


YouTube에서 갑바 도 기아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성지가 좋다 229회 터키 ‘갑바도기아’, 초기 기독교의 영성을 따라서 | 갑바 도 기아,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고양이 사진 모음 | 귀여운 고양이 사진 모음~ 11941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Leave a Comment